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회원분들께,
기후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자연재해 위험은 커져가고 특히 연안의 자연재해 위험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연안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음에도 연안의 자연재해 피해는 반복되어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또한 단기적 재해대응 효과를 위해 피해복구와 같은 사후대책과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성공법 위주의 대책으로는 자연재해에 제대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개념의 자연재해 대응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번 심포지움은 연안의 자연재해 위험을 공감하면서 재해대응의 다양한 방안과 근본적인 대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연안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자연재해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발걸음을 시작하려 합니다.
연안의 자연재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각 분야에서 고민하고 노력하시는 모든 분들이 함께 토론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심포지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 일반인 및 학생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 김종덕
< 안전하고 살아있는 해안 - 연안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심포지엄 - >
□ 일시 : 2022년 10월 20일(목) 13:00~17:30
□ 장소 : 서울 연세빌딩 대회의실(서울역 앞)
□ 세부 일정
시 간 | 내 용 | 발표자 및 토론자 |
13:00 ~ 13:20 | 등록 | |
13:20 ~ 13:30 | 개회사 | KMI |
축사 | 해수부 | |
13:30 ~ 15:10 (각 20분, 미국 20분 추가)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자연재해 대응 방안 | 정태성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최근의 연안복합재해 리스크 : 일본의 사례와 연구동향 | 김수열 교수(일, 구마모토대) | |
강성공법의 한계와 극복을 위한 대안 | 신성원 교수(한양대학교) | |
The protective role of saltmarshes, other benefits, and threats(염습지의 재해대응 능력 및 위협 요소) | Prof. James Morris(Univ. of South Carolina) | |
15:10 ~ 15:30 | Break Time | |
15:30 ~ 16:10 | 도시계획을 통한 연안재해 획복력 강화 모색 | 강정은 교수(부산대학교) |
생물다양성 증대를 통한 호안 생태계 복원 및 외력 완화 방안 | 손민호 박사(해양생태기술연구소) | |
16:10 ~ 17:10 (각 10분) | 지명 토론 | 좌장 : 유근배 교수(서울대학교) |
강기룡 박사(기상청) (가나다 순) 강태순 수석(지오시스템리서치) 박진한 박사(KEI) 신방실 기자(KBS) 윤성순 박사(KMI) 허동수 교수(경상대학교) | ||
17:10 ~ 17:30 | 청중 질의응답 | |
17:30 | 폐회 | |
해외 발표자 : 온라인
미국 발표 : 순차통역
문의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051-797-4711, 051-797-4745, yjjung@kmi.re.kr)